본문 바로가기

머어어엉

(104)
dart 버튼아니고 스트림을 이용한 스낵바 호출 검색해보면 스낵바의 호출은 대부분 버튼은 onpress하면 발생한다. 내가 원하는건 버튼을 누르면이 아니라 어떠한 행동을 했을 때 발생했으면 했었다. 스낵바는 scaffold가 있어야 된다. 근데 또 scaffold의 context면 안된다. 그래서 한 번 더 감싼다던지 위젯을 만든다던지 다이렉트로는 안되더라. 자세한건 참고링크를 확인. 그래서 난 key를 이용했다. 사용법은 걸어 둔 링크를 참고하면 되겠다. 정리를 잘하셨다. final scaffoldKey = GlobalKey(); 키를 만들고 Scafold 위젯에 key:scaffoldKey 해주면 된다 그리고 listen이 있는 class에 스낵바를 호출하는 함수를 적어주면 된다. subscription = streamDirection.listen..
dart ) ListView와 ListView.builder 두가지로 만든 list 처음에는 ListView안에서 인자로 조작 할 수있을 줄 알았다. 그래서 공식 문서를 봤는데 ListView.builder에서는 리스트를 재정렬 할 수 없다고 쓰여있었다. 후에 알게된건 재정렬이라고하면 드레그를 이용한 정렬을 말 한다는걸 알게되었다. ListView.builder( itemCount: snapshot.data.length, padding: EdgeInsets.all(8), itemBuilder: (context, index) => Text( '${poi[index].name}${poi[index].category}${poi[index].distance}', //todo: [Set.contains(object) ] 함수 => set안에 object의 함수가 있는지 확인하고 있으면 true,..
dart sort()사용해서 나열하기 프로젝트 진행 중 리스트를 거리순으로 나열해야 되었다. 생각해보면 매우 간단한 문제였다. poi.sort((a, b) => a.distance.compareTo(b.distance)); List에 sort를 사용하면 된다. sort를 사용하려면 compare를 알아야 된다. compare는 자바의 compareTo와 같다. a와 b를 비교하여 a가 b보다 작으면 -1 같으면 0 a가 b보다 크면 1 을 반환한다. 공식문서
Dart json API 파라미터 배열로 보내는 법 final req = Uri.https( 'api주소', 'getPublic', { 'latitude': '37.56379999022149', 'longitude': '126.96231432716287', 'range': '1000', 'class_1': 'health', }); final response = await http.get(req); 처음에 이렇게 만들어서 api 호출을 했다. 그러다보니 class_1의 health 만 찾아온다. 당연히 하지만 난 배열로 class_1의 4가지를 찾아와야했다. 그래서 어떻게하면 class_1에 파라미터를 보내야되지 하면어 이것저것 해봤지만 당연히 안됐다. class_1 : ['array1','array2'] class_1 : ['array1','array2'..
[Flutter]flutter doctor --android-licenses java 오류 java.lang.NoClassDefFoundError Exception in thread "main" java.lang.NoClassDefFoundError: javax/xml/bind/annotation/XmlSchema at com.android.repository.api.SchemaModule$SchemaModuleVersion.(SchemaModule.java:156) at com.android.repository.api.SchemaModule.(SchemaModule.java:75) at com.android.sdklib.repository.AndroidSdkHandler.(AndroidSdkHandler.java:81) at com.android.sdklib.tool.sdkmanager.Sd..
참고 / 객체 null : 값이 없다. ( 프로그래머가 의도적으로 넣음) undefined : 값이 정의되어 있지 않다. 객체란 : 객체 (Object). Java의 map과 같다고 생각하면 됨. key와 value로 구성되어있다. 배열과의 차이점 - 배열은 [ ] 로 만든다. - 인덱스가 정해져 있다. 0, 1, 2, 3 ... 객체는 인덱스를 지정할 수 있다. ( key) { } 로 만든다. var ob = {'name'='kim', 'age'= 10, 'sex'= 'man'}
JS ) DOM 이란? 문서객체모델(DOM) 웹 페이지가 적재되면, 브라우저는 페이지의 DOM을 생성한다. DOM(문서 객체 모델)이란? 웹 페이지에 대한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이다. 기본적으로 여러 프로그램들이 페이지의 콘텐츠 및 구조, 그리고 스타일을 읽고 조작할 수 있는 API를 제공한다. 트리에서는 부모, 자식, 형제 노드의 개념이 있다. DOM 과 BOM HTML문서를 객체로 표현한 것이 DOM 웹브라우저를 객체로 표현한 것이 BOM 트리의 최상위 노드는 WINDOW 객체로서, window 객체는 브라우저 그 자체를 표현한다. 브라우저에 있는 모든 것이 객체로 표현되어 있기 때문에 자바스크립트에서는 객체의 속성을 변경하고 객체의 메서드를 호출해주면 웹 브라우저에 대한 거의 모든 것을 제어할 수 있다.
SQL ) 데이터베이스 설계 1. 데이터베이스 설계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 내에 테이블, 인덱스, 뷰 등의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정의하는 것. 스키마 내에 정의한다는 뜻에서 '스키마 설계'라 불리기도 한다. -논리명과 물리명 테이블을 설계할 때는 테이블 이름이나 열 이름을 지정하는데, 하나의 테이블에 대해 두 개의 이름을 지정할 때도 있다. 하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될 이름으로, 실제로는 CREATE TABLE에 지정하는 이름을 말하며 '물리명'이라 부르고 또 하나는 '논리명'이라는 것으로 테이블의 설계상 이름에 해당한다. -자료형 테이블 열에는 자료형을 지정해야 한다. -고정길이와 가변길이 문자열의 자료형에는 고정길이와 가변길이가 있다. 큰 데이터는 LOB 형으로 저장. -기본키 2. ER다이어그램 테이블을 설계할 때 테이블 간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