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어어엉 (104) 썸네일형 리스트형 web.util.UriComponentsBuilder web.util.UriComponentsBuilder : 여러 개의 파라미터들을 연결해서 URL의 형태로 만들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URL을 만들어주면 리다이렉트를 하거나, form태그를 사용하는 상황을 많이 줄여줄 수 있다. 검색 조건을 유지하는 클래스에 링크를 생성하는 기능을 추가한다. public String getListLink() { UriComponentsBuilder builder = UriComponentsBuilder.fromPath("") .queryParam("pageNum", this.pageNum) .queryParam("amount", this.amount) .queryParam("type", this.type) .queryParam("keyword", this.keywor.. 400 에러 발생. 글 수정 중 400에러 발생.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400 Bad Request 응답 상태 코드는 서버가 클라이언트 오류(예: 잘못된 요청 구문, 유효하지 않은 요청 메시지 프레이밍, 또는 변조된 요청 라우팅) 를 감지해 요청을 처리할 수 없거나,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찾아낸 결과. 데이터 패턴이 잘 못 되었다. 'yyyy-MM-dd'로 변경 후 400에러 사라짐. 스프링 (Spring) 특징 POJO 기반의 구성 의존성 주입(DI)을 통한 객체 간의 관계 구성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 AOP(Aspect-Oriented_Programming) 지원 편리한 MVC 구조 WAS의 종속적이지 않은 개발 환경 POJO 기반의 구성 코드를 개발할 때 개발자가 특정한 라이브러리나 컨테이너의 기술에 종속적이지 않다는 것을 의미함. 개발자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에서도 유리하고, 코드에 대한 테스트 작업 역시 좀 더 유연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생긴다. 의존성 주입과 스프링 의존성이란는 것은 하나의 객체가 다른 객체 없이 제대로 된 역할을 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의 객체가 다른 객체의 상태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주입은 말 그대로 외부.. MVC 패턴 모델1 구조 JSP를 이용한 단순한 모델. 웹 브라우저의 요청을 JSP가 직접 처리한다. 모델 2 구조 웹 브라우저의 요청을 하나의 서블릿이 받는다. 서블릿은 요청을 알맞게 처리한 후 그 결과를 보여줄 jsp 페이지로 포워딩한다. 서블릿이 로직을 처리한다. MVC 패턴 MVC(Model-View-Controller) 패턴은 웹 개발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하는 패턴이다. 모델 : 비지니스 영역의 로직을 처리. 뷰 : 비지니스 여역에 대한 프레젠테이션 뷰( 즉, 사용자가 보게 될 화면)을 담당한다. 컨트롤러 : 사용자의 입력 처리와 흐름 제어를 담당한다. 핵심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모델과 결과 화면을 보여주는 뷰를 분리한다. 어플리케이션의 흐름 제어나 사용자의 처리 요청은 컨트롤러에 집중된다. 유지보수가 .. 서블릿 (Servlet) , 필터 서블릿이란 JSP 표준이 나오기 전 자바로 동적인 페이지를 만들기 위한 서버 프로그래밍. 개발 과정 서블릿 규약에 따라 자바 코드 작성 자바 코드를 컴파일해서 클래스 파일을 생성 /WEB-INF/classes 폴더에 클래스 파일을 패키지에 알맞게 위치 web.xml 파일에 서블릿 클래스를 설정 톰켓 실행 웹 브라우저 확인 서블릿 구현 java public class NowServlet extends HttpServlet { @Override protected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uest,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response.setContentType("text/ht.. Jsp 중급 데이타 베이스 생성 및 유저생성 권한 create database chap14; create user 'jspexam' @'localhost' identified by 'jsppw'; grant all privileges on chap14.* to 'jspexam'@'localhost'; create database 데이타베이스명; create user '계정명' @'호스트' identified by '비밀번호'; grant 권한목록 on 데이터베이스.대상 to '계정명'@'호스트'; Class.forName() MySQL : com.mysql.jdbc.Driver 오라클 : oracle.jdbc.driver.OracleDriver Ms SQL 서버 : com.microsoft.sqlserver.jdbc.. JSP 기본 Java Server Pages, 동적 페이지를 작성하는데 사용되는 자바의 표준 기술. Request 기본 객체 : 클라이언트가 보낸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IP = 요청정보길이 = 요청정보 인코딩 = 요청정보 컨텐츠타입 = 요청정보 프로토콜 = 요청정보 전송방식 = 요청 URI = 컨텍스트 경로 = 서버이름 = 서버포트 = Response 기본 객체 : request와 반대의 기능. 웹브라우저에 보내는 응답 정보를 담는다. - 헤더 정보 입력, 리다이렉트 하기 request는 너(클라이언트, 사용자) response는 나(서버, 개발자) 인코딩, 디코딩 JSP 처리 과정 jsp를 실행한다는 말은 곧 jsp 페이지를 컴파일한 결과인 서블릿 클래스를 실행한다는 의미가 된다. 'jsp 페이지를 .. DB 설계 트랜잭션(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속도는 데이타베이스의 구조와 접근 경로에 달려 있다. 이런 데이타베이스의 구조(스키마)를 개발하는 과정을 데이타베이스 설계라 한다. DB 설계 환경 데이타베이스 생명 주기 : 생명 주기의 어떤 단계에서 일단 문제가 발생하면 그 피드백을 받아 그 앞의 적절한 단계로 되돌아가 그 단계에서부터 다시 계속하게 된다. 데이타베이스 설계 단계 요구조건 분석 개념적 설계 논리적 설계 물리적 설계 구현 설계 고려 사항 : 고려되어야 할 주요 사항들에는 무결성, 일관성, 회복, 보안, 효율성 그리고 데이타베이스 확장 등이 포함된다. 회복 :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 장애 발생 직전의 일관된 데이타베이스 상태로 복구하는 것. 보안 : 불복적인 데이타의 변경이나 손실 또는 노출에 대한 보.. 이전 1 2 3 4 5 6 7 8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