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데이터베이스 설계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 내에 테이블, 인덱스, 뷰 등의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정의하는 것.
스키마 내에 정의한다는 뜻에서 '스키마 설계'라 불리기도 한다.
-논리명과 물리명
테이블을 설계할 때는 테이블 이름이나 열 이름을 지정하는데, 하나의 테이블에 대해 두 개의 이름을 지정할 때도 있다.
하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될 이름으로, 실제로는 CREATE TABLE에 지정하는 이름을 말하며 '물리명'이라 부르고 또 하나는 '논리명'이라는 것으로 테이블의 설계상 이름에 해당한다.
-자료형
테이블 열에는 자료형을 지정해야 한다.
-고정길이와 가변길이
문자열의 자료형에는 고정길이와 가변길이가 있다.
큰 데이터는 LOB 형으로 저장.
-기본키
2. ER다이어그램
테이블을 설계할 때 테이블 간의 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 설계도를 작성하는 경우가 있다.
ER다이어그램은 이런 경우에 널리 쓰이는 도식이다.
E는 'Entity'의 약자 R은 'Relationship'의 약자이다.
개체 간의 관계를 표현한 것이다.
ER다이어그램에서 개체는 사격형으로 표기한다.
개체와 개체가 서로 연계되는 경우에는 선으로 이어서 표현한다.
외부키 제약을 설정하면 데이터의 정합성이 엄격히 관리되어 번거로워진다는 이유로 이를 채용하지 않는 시스템도 있다.
'설계상 이렇게 연관되어 있다'라고 나타내는 것이 ER다이어그램의 역할이다.
'DataBase > 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_LV ) 실행 계획이 SQL 구문의 성능을 결정 (0) | 2020.07.04 |
---|---|
SQL_LV ) DBMS와 실행 계획 (0) | 2020.07.03 |
SQL_lv ) DBMS와 버퍼 (0) | 2020.07.02 |
SQL 뷰 (0) | 2020.06.29 |
Sql 인덱스 (0) | 2020.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