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 데이타 모델링
데이터의 세계
현실 세계에는 무수히 많은 개체(entity)라고 하는 객체들이 존재하고 우리들은 이들의 공통적인 특성을 기준으로 그룹 지어 이름을 붙여 식별하고 있다. 또한 계속적으로 변하고 있는 무형의 현상들을 통틀어서 원시 사실(primitive facts)또는 값(value)라고 한다.
개념적 구조를 구성한는 빌딩 블록은 현실 세계의 개체들을 추상화시킨 개체 타입(entity type)이다.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게 논리적 구조로 변환 하는 과정을 데이타 모델링(data modeling)이라 한다.
데이터 모델의 개념
: 개념적 데이터 모델(개체 타입), 논리적 데이타 모델(레코드 타입)
p.212~213
관계 타입
관계 타입의 유형
1. 일대일(1 : 1)
: 신랑과 신부 ( 결혼 관계 )
신랑은 한 신부와 한 신부는 한 신랑과 결혼 관계를 맺는 것이기 때문에 이 관계는 일대일이다.
2. 일대다 (1:n)
: 어머니(1)와 자식(n) ( 모자 관계 )
한 어머니는 여러 자식들을 가질 수 있는 반면에 개개 자식들은 유일한 자기 어머니하고만 관련될 수 잇으므로 이 모자 관계는 일대다이다.
자식 기준은 다대일
3. 다대일(n:1)
: 교수(n)와 학과(1) (소속 관계)
각 교수가 하나의 학과에 속해 있고, 한 학과에는 여러 교수가 속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다대일이다.
4. 다대다(n:m)
: 학생과 과목 ( 등록 관계 )
한 학생은 여러 과목을 선택할 수 있고, 한 과목을 여러 학생이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다대다이다.
관계 타입의 특성
: 개체 타입과 같이 어트리뷰트를 가질 수 있다.
E-R 모델
E-R 다이어그램
: 개체-관계 모델(Entity-Relationship model) 또는 E-R모델은 기본적으로 개체 타입과 이들 간의 관계 타입을 이용해서 현실 세계를 개념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개체 관계 모델을 그래프 방식으로 표현한 것이 바로 E-R 다이어그램이다.
논리적 데이터 모델
: 일차적으로 사용자가 생각하는 저장 데이타베이스의 논리적 구조, 즉 현실 세계가 데이타베이스에 표현될 수 있는 논리적 구조를 기술하는 것이다.
관계 데이타 모델에서는 개체와 관계가 모두 통일적으로 릴레이션(테이블)으로 표현되었다.
개체 집합을 나타내는 개체 릴레이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은 관계 릴레이션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 계층 데이터 모델
관계를 나타내는 방법이 테이블 형태의 릴레이션이냐, 네트워크 형태냐, 아니면 트리 형태냐가 바로 그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