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ase/DB

DB 종속성과 정규화

프로그래멍 2020. 5. 3. 23:45

데이타의 논리적 표현

 : 데이타베이스 설계에서 중요한 사항은 무엇보다도 현실 세계를 가장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데이타의 논리적 구조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것이 곧 릴에이션스키마의 설계가 된다.

 

삭제이상

: 한 투플을 삭제함으로써 유지해야 될 정보까지도 삭제되는 연쇄 삭제 현상(triggered deleting)이 일어나게 되어 정보 손실(loss of information)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삭제 이상(deletion anomaly)이라고 한다.

 

삽입이상

 : 어떤 데이터를 삽입하려고 할 때 불필요하고 원하지 않ㄴ느 데이타도 함께 삽입해야만 되고 그렇지 않으면 삽입이 되지 않는 현상을 삽입 이상(insertion anomaly)이라 한다.

 

갱신이상

 : 중복된 투플들 중에서 일부 투플의 어트리뷰트 값만을 갱신시킴으로써 정보의 모순성이 생기는 현상을 갱신 이상(update anomaly)이라 한다.

 

관계 데이타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는 바로 이 스키마변환을 통해 얻어진 스키마를 말한다.

3가지 원리에 기초를 두고있다.

 

정보 표현의 무손실, 최소의 데이타 중복성, 분리의 원칙

 


 

함수 종속

X의 값 각각에 대해 시간에 관계없이 항상 Y,Z의 값이 오직 하나만 연관되어 있을때
Y,Z는 X에 함수종속 이라한다.

X → Y , X →  Z 표기한다.

X → (Y,Z,N,M) 으로 줄여서 표기하기도 함.

 

수강 릴레이션의 함수 종속 다이어그램

수강 릴레이션은 다음과 같은 두개의 함수 종속을 가지고 있다.

{학번,과목번호}  성적

학번   학년


기본 정규식

 : 1정규형,2정규형,3정규형,4정규형,5정규형이 있다.